실제 큐레이션 수익률 분포 분석

@lostmine27 · 2019-02-09 04:14 · busy

6106.png

※ 단순참고용 자료일 뿐이며, 중간에 Contents부분부터 읽으셔도 무방합니다.

분석 목표 및 제약조건


① 목표

먼저, 단순참고를 위해, 간단히 이론적인 기대 큐레이션수익률을 산출할 것입니다.

그리고 올해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의 자료를 근거로, 실제 큐레이션수익률분포 및 그 평균수익률을 확인할 것입니다.

주요 큐레이션수익률 구간별로 평균 투표수, 유효SP 평균치와 비교하여 특징을 파악하고, 상관계수를 체크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자료들을 통해서 전반적인 시사점들을 정리합니다.


② 조건

자료의 효과성,효율성 및 계산상의 편의를 위해,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계정들만을 사용했습니다. 조회시점은 2월 8일 16시입니다.

  • 해당 기간 동안, 계정의 유효SP가 50을 넘는 계정
  • 올해 1월1일에서 1월31일사이에 수령한 큐레이션리워드가 있는 계정
  • 작년 12월25일에서 올해 1월24일사이에 투표한 적이 있는 계정
  • 작년 12월25일부터 조회시점까지 파워업, 파워다운, 임대를 하거나 임대를 받은 기록이 없는 계정

6100.png

참고로 작년 12월25일부터 조회시점까지 투표한 계정수는 17,585개이고, 그 유효SP합은 70.7M입니다. 이 분석에 사용된 계정수는 7,496개로 전체의 43%수준이고, 유효SP합은 20.3M수준으로 전체의 26%수준입니다. 이 정도면 최근의 실제 큐레이션수익률분포를 확인하는데 있어 충분한 데이터라고 생각합니다.


목차


  1. 이론적인 기대 큐레이션수익률
  2. 실제 큐레이션 수익률 분포 ① 큐레이션수익률분포 및 평균수익률 ② 주요 큐레이션수익률 구간별 특징 및 상관관계
  3. 결론

Contents

1. 이론적인 기대 큐레이션수익률


6101.png

위 표에서 보다시피, 현재 STEEM의 인플레이션율은 8.57%이고, 따라서 이론적인 기대 큐레이션수익률은 1.61%입니다.

  • 1.61% = 8.57% * 75% * 25%

그러나 상당수 STEEM은 유동성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만약 전체 STEEM의 1/3이 유동성 상태라면, 기대 큐레이션수익률은 2.4%로 상승합니다.

  • 2.4% = 8.57% * 75% * 25% * (3/2)

물론 인플레이션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므로 실제로 기대큐레이션수익률은 이 수치보다 조금 낮은 것이 정상입니다. 반면에 유동성STEEM의 비중이 높아질수록 실제 기대큐레이션수익률이 높아질 여지도 있습니다.

참고로 큐레이션 리워드는 비선형보상곡선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투표시간, 포스트의 보상크기 및 투표순서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2. 실제 큐레이션 수익률 분포


① 큐레이션수익률분포 및 평균수익률

실제 큐레이션수익률은 아래 공식을 사용하여 산출했습니다.

  • 큐레이션수익률(연환산) = (획득한 큐레이션SP / (조회시점의 유효SP - 획득한 큐레이션SP)) * 365 / 31

6107.png

위 표를 보면, 제약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7,496개 계정의 실제 큐레이션수익률 평균치는 2.2%로 나타났습니다. 평균 유효SP는 2,7K이고, 평균 투표수는 435개로 일평균 14개였습니다.

평균은 2.2%에 불과하지만, 수익률은 최저 0.0005%부터 최고 79.7%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습니다.

6104.png

위 표를 보면, 실제로 2.2%보다 더 낮은 큐레이션수익률 기록한 계정의 비중이 무려 62%입니다.

6105.png

위의 수익률 분포도를 보면, 이는 노력 여하에 따라 큐레이션수익률이 꽤 달라질 수 있음을 뜻합니다. 평균 주변에 많이 몰려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비선형곡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6108.png

위 분포도는 99.8%가 몰려있는 수익률 20%미만 계정만을 나타낸 것입니다. 좀 더 현실적인 비선형곡선을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6106.png

다만, 위의 막대그래프로 볼때 전체의 62%가 평균 수익률(=2.2%) 미만이고, 90%가 수익률5% 미만이며, 98%가 수익률10% 미만에 위치합니다.

10%를 초과하는 큐레이션수익률을 기록하는 경우는 2%미만으로 매우 드뭅니다. 심지어 20%초과 수익률을 기록한 계정의 비중은 불과 0.2%입니다.

따라서 현재의 큐레이션 리워드체계에서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임도 같이 기억해야 합니다.


② 주요 큐레이션수익률 구간별 특징 및 상관관계

6109.png

큐레이션리워드는 투표시간과 포스트의 보상크기를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설계했기 때문에, 사실 다른 변수는 아주 중요한 요인은 아닙니다.

하지만, 주요 큐레이션수익률 구간별로 약간의 특징은 나타납니다.

수익률 15%수준까지는 일평균 투표수가 증가할수록 큐레이션수익률이 높아집니다. 이는 아래 분포도 상에서도 약하게나마 나타납니다.

6113.png

수익률 10%수준까지는 평균 유효SP가 증가할수록 큐레이션수익률이 높아집니다. 다만 이는 아래 분포도 상에서는 아주 미미하게 나타납니다. 그리고 유효SP가 올라갈수록, 큐레이션 수익률을 높이기가 매우 어려워집니다.

6111.png

실제로 큐레이션수익률과 일평균 투표수 간 양의 상관관계는 25%수준이었고, 유효SP평균과는 6%정도만 상관관계가 있었습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십시요.

6110.png


3. 결론


실제 큐레이션수익률 분포는 큐레이션의 동기부여를 위해 설계된 비선형보상곡선을 철저하게 따르고 있었습니다.

62%가 평균수익률(=2.2%) 미만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이것은 투표를 꾸준히 하지 않은 점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28%는 평균수익률 보다는 높지만, 5%미만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투표를 꾸준히 하는 경우 적어도 이 구간에는 속할 수 있을 것입니다.

8%는 5%초과 10%미만의 수익률을 얻었습니다. 투표를 꾸준히 함과 동시에 인기를 끌만한 글들에 빠르게 투표하는 큐레이터로서의 노력을 할 경우 잘하면 이 구간에 속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단지 2%만이 10%초과 수익율을 찍었고, 그 중 불과 0.2%만이 20%초과 수익율을 얻었습니다. 이렇게 수익률 기준 상위 2%에 속한 계정이 되려면, 거의 기계처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투표할때에만 약간의 가능성이 있을 겁니다.

그리고 일평균투표수와 큐레이션수익률 간에 약간의 양의 상관관계(=25%)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유효SP가 올라갈수록, 큐레이션 수익률을 높이기가 매우 어려워집니다.

추가로 생각해볼 점은, 높은 큐레이션수익률을 가져가는 계정 중 자동투표봇을 사용하는 일부 계정에 한정된 문제입니다.

실제로 자동투표봇 사용 증가는, 선호저자 지원 및 폭넓은 투표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도 있지만, 페이지뷰와 평균 댓글수 감소에 일조하는 부정적인 부수효과도 가져옵니다.

최고의 수익률을 얻는 극소수 계정들은 대체로 자동투표봇을 통해 포스트를 읽지도 않고, 하루 수백회 이상의 투표를 하는 것 같습니다. 그 수가 많지 않고, 대부분 유효SP도 낮기 때문에 문제시되고 있지는 않지만, 글을 읽지도 않고 즉, 큐레이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높은 수익률을 얻어가는 행위는 리워드풀을 왜곡할 여지가 있어 보입니다.

물론, 그 외의 대다수 계정들은 자동투표봇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좋아하는 저자목록을 작성하여 하루 수회~수십회 정도의 투표를 한 뒤 추후 투표된 포스트를 읽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큐레이션노력을 하지 않았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자동투표봇으로 먼저 투표했다는 이유로 수동으로 천천히 글을 읽고 투표한 계정보다 더 높은 수익을 얻는 것에 대해 우리는 고민을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자동투표봇의 사용을 금지하자는게 아니라, 큐레이션 동기를 해치지 않고 오히려 높일 수 있는, 더 공정한 분배를 통해 더 활발한 STEEM체인을 만들기 위해, 큐레이션 리워드 체계에 대해서 중장기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큐레이션은 "콘텐츠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STEEM체인에 있어 필수적인 행위이고, 활발한 큐레이팅을 통해 부수적으로 본인도 여러가지 베네핏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큐레이션을 단순히 수율 잣대로만 봐서는 안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kr #coinkorea #tooza #steem #life
Payout: 0.000 HBD
Votes: 84
More interactions (upvote, reblog, reply) coming s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