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Promoted)"섹션에 사용된 SBD지불규모 분석 및 그 시사점

@lostmine27 · 2019-01-27 21:09 · busy

"홍보"섹션 등록을 위한 SBD지불액이 감소하고 있다고 느끼실 것입니다.

5600.png

이것은 홍보를 위해 bidbot, resteembot을 사용하는 경우가 아닌, 위의 경우처럼 STEEMIT플랫폼에서 "Promoted(혹은 홍보)"섹션에 글을 싣기 위해 사용되는 SBD지불액을 뜻합니다.

실제로 이 용도로 사용되는 금액이 어느 정도인지 연도별/월별/일별로 추세를 확인하고, 지불액 기준 상위 20계정들을 알아봅니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을 바탕으로 한 시사점을 생각해봅니다.

자료분석기간(UTC기준)은 STEEM체인의 시작일부터 2019년 1월 26일까지입니다.


분석 목차


  1. '홍보" 섹션에 지불된 SBD금액 추세 (일별/월별/연도별)
  2. 상위 20계정들
  3. 결론

1. '홍보" 섹션에 지불된 SBD금액 추세 (일별/월별/연도별)


① 일별 추이

아래 차트는 모든 기간의 일별 추이를 보여줍니다.

5601.png

점차 그 양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좀 더 명확하게, 2018년 이후로만 보겠습니다.

5602.png

최대 하루 700SBD수준을 기록했고, 요새는 하루 수십SBD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② 월간 추이

5604.png

최근월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최근 STEEMIT.COM의 페이지뷰가 고점 대비로는 많이 감소했지만, 초기보다는 크게 늘었음을 감안한다면, 이것은 단순히 페이지뷰의 감소에 기인했다고 보기 힘듭니다. 좀 더 근본적인 원인이 있는 것 같습니다.


③ 연간 추이

5603.png

2018년의 SBD지불액이 2017년보다 크게 적습니다. 2018년 STEEMIT.COM의 사용자수와 페이지뷰는 2017년과 비교하면 꽤 늘었기에, 이것은 "홍보"섹션의 효과가 낮기에 사용자들이 활용을 기피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또한 SBD지불액은 누적 20만개, 2018년 이후로는 5만개 수준에 불과합니다.


2. 상위 20 계정들


5605.png

"홍보"섹션등록을 위해 SBD지불규모가 큰 20개 계정을 위 표로 정리했습니다.

좌측은 전 기간을 기준으로, 우측은 2018년 이후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어느쪽을 봐도, 상위 20계정의 SBD지불규모가 전체의 17~19%로 낮습니다.

따라서 특별히 눈에띄는 계정은 보이지 않습니다.

이것은 "홍보"섹션에 글을 등록하기 위해 SBD를 지불하는 사용자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다는 뜻입니다.


3. 결론


"홍보"섹션 등록에 사용된 SBD는 소각됩니다. 따라서 SBD잔고감소에 기여합니다.

하지만 본론에서 보았듯이, "홍보"섹션 등록을 위한 SBD지불규모는 점차 감소하고 있습니다.

반면 SBD공급잔고는 몇달 새 많이 줄어들고는 있지만, 과거 대비로는 상당히 늘어났습니다. 참고로 현재 남은 SBD잔고는 약 1,050만개 수준입니다.

결론적으로, "홍보"섹션은 현재 상태에서는 그 영향력을 상실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아마 "홍보"섹션에 등록한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홍보"효과가 거의 없기 때문일 것입니다. 사용자들은 번거롭게 "홍보"섹션을 별도로 찾아 읽지 않습니다.

따라서, 최근 STEEMIT_INC에서 "구글광고"기능 및 자체광고 기능을 도입했듯이, "홍보"섹션 역시 변화가 필요한 때입니다.



Sponsored ( Powered by dclick )

dclick-imagead

#kr #coinkorea #tooza #steem #steemit
Payout: 0.000 HBD
Votes: 68
More interactions (upvote, reblog, reply) coming s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