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S10 암호화폐 지갑 지원과 하드웨어 지갑 이야기

@twinbraid · 2019-02-21 06:17 · busy

갤럭시S10 지갑 (대문은 @carrotcake 님께 의뢰하였습니다)

예전에 한번 갤럭시S10 유출정보중에 지갑탑재의 소식이 있었는데요

그게 이제 공식적으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유튜브 코예커플TV 6분 3초쯤) https://youtu.be/pEilP_R5vZ4?t=363

하드웨어 지갑 설정메뉴에 들어있고

시작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문구에는

  1. 키 저장과 계약 서명 수단 제공
  2. 복원 문구, PIN

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시작하면 지갑 가져오기, 새 지갑 만들기가 보입니다.

기존 지갑 가져오기는 복원 문구나 PIN을 넣으면 지갑을.. 좀더 정확히는 키를 복구시켜주는 메뉴일테고 새 지갑 만들기는 키를 새롭게 생성, 저장, 복구 문구 생성 이 포함되겠죠.

이는 하드웨어지갑에서 흔히 보던 것들이죠.

즉, 갤럭시S10 시리즈는 물리적 하드웨어지갑의 기능을 가지게 됩니다.

이제 더이상 나노S 인지 은나노S인지.. 10만원 넘어가는(최신버전의 경우) 비싼 지갑을 따로 구매할 필요가 없게된다는 것이죠.

업뎃하다가 먹통이 된다거나 용량부족으로 지갑 갯수 제한이라던가.. 그런 것들 걱정도 싹 사라집니다.

한마디로 현재 나와있는 모든 하드웨어 지갑을 씹어먹는 물건이 나온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단,

지갑 전용의 물건이 아니라 각종 앱들이 깔리고 통신이 이뤄지고 몸캠이 오고가는 따뜻한 안드로이드 환경을 생각하면

정말 전용 하드웨어 지갑보다 안전한가? 라는 관문을 거쳐가지 않을 수 없습니다.

결론부터 말한다면 기존의 하드웨어 지갑'보다' 까지는 가지 않지만 '만큼' 까지는 갑니다. 기존 것이 100의 안전도라면 갤럭시S10 것은 99정도는 될 수 있다는 거죠.

어떻게 그런지 한번 알아봅시다.

하드웨어 지갑의 최대 특징은 물리적 격리연결을 동시에 실현하는 물건이라는 것입니다.

예를들자면

키는 여기 섬에 있습니다.

그리고 이 섬에는 배가 다니지 않습니다. 물리적으로 격리죠. 그래서 도둑이 키를 훔쳐갈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이러면 키를 사용할 수도 없죠.

그래서 도둑은 못들어오지만 키로 거래서에 사인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냅니다.

바로 전서구 같은 것을 날리는 거죠.

그럼 섬에 설치된 로봇(지갑앱)이 날아온 편지(거래서) 에다가 키로 사인을 합니다. 그리고 비둘기는 사인된 거래서를 가지고 와서 블록체인에 넣어 거래를 성립시킵니다.

결국 키는 침입자로부터 완벽히 격리되어 유출될 위험이 없으면서 거래는 가능한 하드웨어 월렛의 원리가 완성됩니다.

'혹시 비둘기가 키를 물고 달아나면 어떻해요?' 라는 동화적 상상력을 가지신분도 있을지 모르니 키는 2미터에 1톤짜리라고 하겠습니다-ㅅ-;

갤럭시S10도 마찬가지입니다.

폰에 장착된 반도체 내부에 저장소를 만들어 놓고 키를 저장합니다. 이 저장소에서 키를 꺼내는 방법은 아예 만들어 두지 않았기에 해킹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대신 비둘기가 다니는 통로 정도만 있죠.

사실 이와 같은 방식은 이미 오래전부터 스마트폰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생체인증 정보인 지문, 홍채 정보 같은거죠 이들은 스마트폰의 다른 시스템과 분리된 물리적 공간에 저장되며 유출이 되지 않습니다. 해킹된 스맛폰들은 넘쳐나지만 그중에서 지문이나 홍채정보가 탈취되지 않는 이유가 그것입니다.

온라인상에선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저장소에 접근할 방법자체가 없으니 인터넷 연결 안된 PC를 해킹하는 것과 같은거죠.

이제까지는 그 기술을 생체인증등에만 쓰다가 이제 암호화폐 키 저장으로 확대한 것입니다.

사실 여기서 비둘기의 조작여부등 하드웨어 월렛과 갤럭시S10 지갑의 비교가 좀더 남아있지만 머리 아프실테니 더 세세히는 들어가지 않겠습니다.

그냥 이렇게만 알아두시면 됩니다.

'기존의 하드웨어 지갑 전부 씹어먹어버림'

그럼 또 다른 궁금증으로 어떤 암호화폐를 지원하는가~

그에 대해선 담에 또-0-/

#kr #coinkorea #chobo #busy
Payout: 0.000 HBD
Votes: 117
More interactions (upvote, reblog, reply) coming soon.